52 0 0 0 9 0 1개월전 0

사회복지 어휘력 수업

사회복지 신조어와 인권기반 용어사전

이 책은 사회복지사가 사용하는 어휘의 폭을 넓히고 깊이를 더하고자 기획하였다.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그 속도는 점점 더 가속되고 있다. 사회 변화에 비해 사회복지 현장의 변화는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 특히 이런 이질감은 사회복지 현장에서 사용하는 용어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나타난다. 신입 사회복지사들은 현장 실무 용어와 문어체 용어가 어렵다고 말하고, 선배 사회복지사들은 새로 생겨나는 사회 신조어의 속도가 빨라서 못 따라가겠다고 말한다. 어휘력은 단어를 풍성하게 구성하는 능력을 말하는데, 사회복지사가 넓게 살펴서 알아야 하는 용어는 무엇이 있을까? 사회복지 실무자는 학교에서 배우지 않은 현장 실무 용어를 알아야 한다. ‘희망이음, 재무회계규칙, 추경, 이월, 품의서, 결재, 전용’ 등의 용..
이 책은 사회복지사가 사용하는 어휘의 폭을 넓히고 깊이를 더하고자 기획하였다.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그 속도는 점점 더 가속되고 있다. 사회 변화에 비해 사회복지 현장의 변화는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 특히 이런 이질감은 사회복지 현장에서 사용하는 용어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나타난다. 신입 사회복지사들은 현장 실무 용어와 문어체 용어가 어렵다고 말하고, 선배 사회복지사들은 새로 생겨나는 사회 신조어의 속도가 빨라서 못 따라가겠다고 말한다.

어휘력은 단어를 풍성하게 구성하는 능력을 말하는데, 사회복지사가 넓게 살펴서 알아야 하는 용어는 무엇이 있을까? 사회복지 실무자는 학교에서 배우지 않은 현장 실무 용어를 알아야 한다. ‘희망이음, 재무회계규칙, 추경, 이월, 품의서, 결재, 전용’ 등의 용어를 알아야 업무를 해낼 수 있다. 또 사회문제가 다양해지면서 ‘조력 자살, 오티즘 엑스포, LGBTI, DEI, 식품 사막화, 탄소 발자국’ 같은 용어가 새롭게 등장하기에 사회 변화에 발맞춘 사회복지 실천을 위해서는 사회 신조어에 대한 이해가 필수이다. 이 책의 1부에는 어휘력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현장 실무 용어와 최근 5년간 많이 사용되는 사회복지 신조어 350여 개를 담았다.

그렇다면 사회복지사가 깊이 있게 알아야 하는 용어는 무엇이 있을까? 우리가 익숙히 알고 있는 사회복지 용어들은 외국의 전문용어
를 번역하여 사용되는 과정에서 원어의 의미를 벗어나 시혜적이고 병리적인 관점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사람 중심이 아닌 문제 중심 의미가 더 많이 부각이 되면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당사자를 대상화하거나, 문제가 있는 사람으로 만든다. 사회복지 전문용어가 그 당사자의 인권을 보장하지 못하다니! 사회복지사이자 인권 강사인 저자들은 이 부분에 주목하였다. “어떻게 하면 사람을 존중하는 말과 글을 사용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으로 함께 모여 익숙했던 사회복지 전문용어를 한 단어씩 곱씹었다. ‘자선, 개입, 발굴, 지도 점검, 취약 계층, 치매, 조직화, 대상자’ 등의 용어가 인권적이고 윤리적으로 사용되는지 질문하고 토론하였다. 또 ‘벙어리 장갑, 학부형, 경단녀, 병맛, 잼민이, 유모차’ 같은 일상 단어들이 차별·혐오·비하가 아닌지 살펴보았다. 이 책의 2부에는 어휘력의 깊이를 더할 수있는 인권기반 윤리적인 용어 150여 개를 담았다.

용어가 가진 어원적 의미, 사전적 의미, 사회적 의미를 고려하며 대체할 용어를 찾아내는 과정이 그리 쉽지만은 않았다. 하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말과 글이 바뀐다면 사회복지 현장이 보다 인권 중심, 당사자를 고려하는 생태계가 되지 않을까 하는 조심스러운 기대를 담아 500여 개의 단어를 하나하나 점검했다. 이 책을 시작으로 지면 관계상 수록하지 못한 수많은 인권 기반 윤리적 용어에 대한 문제의식을 품고 함께 고민하며 실천하는 사회복지사들이 생겨나길 기대한다.
김연정
오늘보다 내일이 더 나은 세상이 되길 바라는 연구자
아동·청소년·가족 복지·디지털 인권 주집필
국가인권위원회 기업분야 위촉 강사
관계공감심리상담센터 소장

서영협
세상을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싶은 사회사업가
장애인 복지·사회복지 공통용어 주집필
전)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인분야 위촉 강사
사회복지인권연구소 부소장

송부연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아닌,
사람과 사람을 잇는 사회사업을 잘하고 싶은 사회복지사
장애인 복지·사회복지 실무용어 주집필
경기복지재단 사회복지분야 인권강사
서운장애인주간이용시설 센터장

이선영
우리 모두의 다정한 회복을 꿈꾸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정신건강·정신장애인 복지 주집필
국가인권위원회 사회복지 분야 위촉 강사
한울지역정신건강센터 팀장

지승훈
배움을 공유하여 서로 돕는 현장 전문가 겸 연구자
노인·금융·다문화 복지 주집필
국가인권위원회 노인 분야 위촉 강사
군장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전안나
책과 글로 사람을 돕는 작가 사회복지사
신조어·사회문제 일반 주집필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아동 인권 강사 수료
한국성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외래강사 | ㈜책글사람 대표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